머리말
Ⅰ. 서장
1. 고려 전기 한문학사 서술의 문제들
문제 제기
문제의 접근
2. 고려 전기 문학의 시대 구분
Ⅱ. 10세기 건국 초기의 문학
1. 전통적인 문학 기반
신라 도당(渡唐) 유학생들의 문학 전통
새로운 문학 담당층의 출현
초기 문학의 사상적 배경
2. 중국 문학과의 교류
오대와의 인적 교류 및 오대 문학의 특성
빈번한 외교 문서의 왕래와 그 영향
귀화 한인들의 활동과 의의
3. 고려 초기 문학의 유형과 특징
건국과 통치의 이념을 담은 글들
왕실 인물과 공신의 미를 담은 글들
승려의 일생과 깨달음을 담은 비문들 및 불찬가 번역시
응제시와 유배시의 맹아
Ⅲ. 11세기 문종과 그 전후 시기의 문학
1. 문종 전후 시기 문학의 개관
응제 문화의 형성
유불 대립과 유학 정신의 강화
송나라와의 문화적 교류와 그 문학적 의미
2. 새로운 문학 담당층의 형성
과거 급제자의 축적과 귀화 한인의 퇴조
다양한 담당층의 유형과 형성의 단초
3. 11세기 한시 문학의 특성
도가적 미의식의 차용
가문 의식의 강화와 교훈시의 지속적인 저작
사행의 체험과 서정 시세계의 개척
역사 의식과 회고의 정
승려의 시에서 드러나는 자연미의 표출과 탈속미
4. 공용문에서 드러나는 사상적 특성
역사 의식 : 박인량의 애책문과 표문
시경 정신 : 노단의 죽책문
Ⅳ. 12세기 예·인·의종 연간의 문학적 특성
1. 문화적 배경
군신유연의 응제 문화의 번성
현실적 갈등과 불교·도교 사상의 수용
송의 문화에 대한 경도
2. 담당층의 문학적 지향과 고민
담당층 개관
경학과 사장 사이에서의 갈등
고문에 대한 관심
3. 문학적 특성과 전개
문학의 유도(儒道) 전달과 정서 표출의 이원적 전개
자연 인식에서 드러나는 현실주의적 정신
주제의 묘사와 특성과 한계
4. 미적 특질
미의식의 두 갈래
'만당풍'의 전통과 소동파의 수용
Ⅴ. 여성의 문학화 양상
1. 고려 전기 한문학에서의 여성
2. 고려 전기 처(妻) 묘지문에 나타난 부부상
고려 처 뮤지문의 여성학적 의미
처 묘지문에 보이는 이상적 아내상
남편이 쓴 처 묘지문에 나타난 실존적 아내상
고려 후기 묘지문에 나타난 부부상과의 차이
3. <삼국사기> 여성 열전의 여성 형상
김부식과 <삼국사기>의 저술 배경
열전 소재 여성들의 의식과 역할
여성관에서 드러난 김부식의 유교주의
후대 여성관의 변모와 그 의미
Ⅵ. 고려 전기 한문학의 지속과 변모
1. 담당층의 지속과 변모
2. 문학관의 지속과 전환
문학 기능의 측면에서
문학 본질의 측면에서
3. 문학 갈래와 작품 세계의 지속과 확장
시
산문
참고 문헌
인물명
저서·편서와 문학 작품명
發表於2024-12-23
고려 전기 한문학사 2024 pdf epub mobi 電子書 下載
圖書標籤: 高麗 文學研究 域外漢籍
고려 전기 한문학사 2024 pdf epub mobi 電子書 下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