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정성일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나, 보고 싶은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아다니면서 서울에 대한 지리감각을 익혔다. 처음으로 극장에서 본 영화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아라비아의 로렌스>. 영화를 보고 난 후 두 달 동안 낙타만 그렸다. 또 하나는 호금전의 <용문객잔>. 일주일 내내 한 번도 빠짐없이 영화를 보러 극장에 갔다. 그 후 무협 영화와 소설에 빠졌고, 초등학교 4학년 때 장철의 <심야의 결투>를 본 후 급기야 학교 수업을 빼먹으면서까지 극장에서 영화를 보고 또 봤다. 영화에 대한 첫 번째 애정 고백.
중학생 때 이미 꼭 봐야 할 영화 500편 리스트를 작성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금지된 장난>을 보러 프랑스 문화원에 갔다가 우연히 고다르의 <기관총 부대>를 보고 쇼크를 받았다. 영화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그때 영화는 카메라로 찍는 것이다, 라는 아주 명징한 사실을 깨달았다. 서점 서가에 꽂힌 《타고르 전집》을 《고다르 전집》이라고 착각할 정도로 고다르의 환영에 시달리며, 어쩔 수 없이 자신에게 영화란 운명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프랑스 문화원에 다니면서 영화를 보고, 글을 계속 쓰다가 대학에 갔다. 친구들 사이에서 영화를 좋아한다는 소문이 났고 학보사에서 일하는 친구가 영화평을 써 보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해서 영화글을 쓰기 시작했다. 성균관대학교 3학년 때 쓴 이장호 감독의 <바보선언> 평론은 지금의 악명(?)을 고스란히 예고한다.
1989년에 창간한 《로드쇼》의 편집차장을 시작으로, 1995년 영화 탄생 100주년이 되던 해에 태어나 ‘90년대 시네필 문화’를 낳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키노》를 이끌며 영화 비평의 흐름을 바꿔 놓았다. 1992년부터 2007년까지 16년 동안 《말》의 최장수 필자였고, 라디오 프로그램 <정은임의 FM영화음악>에 출연하여 긴 호흡의 문어체 화법으로 강한 인상을 남겼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시네마디지털서울 영화제의 집행위원장을 지냈고, 현재는 프로그램 디렉터로서 아시아의 새로운 영화를 발견하는 기쁨을 누리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영화연구I: 임권택》, 《임권택이 임권택을 말하다》(전2권)가 있고, 《김기덕: 야생 혹은 속죄양》을 책임편집했다.
2009년 겨울, 서울 청계천을 걷고 또 걸으며 첫 번째 장편영화 <카페 느와르>를 찍었다.
질문은 우리들의 시작이다. 나는 지치지 않고 몇 번이고 이 자리로 되돌아올 것이다.
정성일의 한국영화 비평활극 『필사의 탐독』. 2000년부터 2010년까지, 21세기 첫 십 년 동안 탄생한 한국 영화 중 새로운 ‘질문’을 보여준 작품을 중심으로 그 낯설고 매혹적인 경향을 탐독한다. 2001년 8월에 쓴 윤종찬의 <소름>에서부터 2010년 1월에 쓴 정재훈의 <호수의 길>까지, 정성일이 쓴 영화 칼럼 중 17개를 선별하여 엮었다. 20세기 영화와의 작별을 고하는 고(故)정은임의 관한 글로 시작하여 홍상수, 박찬욱, 봉준호, 임권택, 이창동, 김기덕, 임상수, 허진호, 이준익 등 10여명의 감독들의 작품을 면밀히 살펴본다. 저자의 영화읽기 뿐만 아니라 인터뷰와 영화 기행문을 함께 수록해 영화에 대한 여러 가지 시선을 읽을 수 있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저자는 이 책이 21세기 첫 십 년 동안의 연대기 혹은 영화사가 아니라고 프롤로그에서 밝히고 있다. 미래로 나아가고 있는 과정 중의 한국 영화에 대한 짧은 기록이자 한국 영화에 대한 저자의 애정과 근심의 시선이다. 영화 그 자체로 보는 내재적 시선에서부터 영화를 통해 세상을 조명하고 인간의 삶을 들여다보기까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영화의 미학을 읽어내고 있다.
發表於2025-02-02
필사의 탐독 2025 pdf epub mobi 電子書 下載
圖書標籤: 韓國文學 韓國 電影 ❤我的藏書❤
필사의 탐독 2025 pdf epub mobi 電子書 下載